도시와 주택, 건축과 건설, 안전에 관한 비평과 대안
이 시대 한국의 도시, 주택, 건축, 건설, 안전의 이슈를 쉽고 빠르게 이해하게 하는 책이다. 관련 현안이 있을 때마다 기고한 주요 일간지의 칼럼을 몸 글로 하고 그것의 현재 상황과 심층 분석을 추가했다. 사회과학과 인문학, 예술과 공학을 넘나드는 학제적 글쓰기가 돋보이는 글들이다.
1장은 도시문제에 관한 내용이다. 선진 도시들을 사례로 도시의 품격에 대해 살피고, 우리 서울이 극복해야 할 강남, 강북 문제의 대안과 시민 주도형 도시 거버넌스에 대한 제안을 담는다.
2장은 주택, 특히 아파트 문제에 대한 것이다. 우리 주거정책의 근간 개념은 ‘자가 소유'와 ’단지형 아파트‘다. 이것이 국민의 가계와 도시공간에 얼마나 폐해를 가져오는지를 주목한 글들이다.
3장은 건축의 품격과 건축 정책에 관한 글들이다. 건설 경쟁력은 일본보다 높은 세계 5위이나 프리츠커 수상자는 0:9인 현실은 건축과 건물을 구별하지 못하고 건축을 건설의 하위 개념으로 여겨왔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4장은 건조물에 의한 사고와 안전에 관한 내용이다. 한국 사회에서 같은 유형의 사고가 거듭되는 것은 ‘안전 불감증’이라는 비과학적 용어로 본질을 호도하기 때문이라 본다. 여러 사고의 패턴과 그 처리 과정을 분석하여 사고는 ‘위험 감수를 통한 이익 극대화’라는 동기라고 밝힌다.
5장은 한국 건설업의 안전과 부실에 관한 글이다. GDP 비중은 5%인데 사고 사망은 50%, 세계 순위는 5위인데 국내에서는 부실의 대명사인 한국 건설업. 왜 이런지를 여러 사건과 사고를 통해 분석하고 있다. 이제 이 시대에서는 ‘늦더라도 제대로’, ‘실용보다 문화’, ‘경제보다 생명’을 더 가치 있게 여기는 문화로 거듭나야 한다고 주장한다.
함인선
건축가, 엔지니어이자 교수이며 7권의 저서와 다수의 칼럼을 쓰고 있는 저술가이기도 하다. 아뜰리에를 운영하며 서울시 건축상 금상 등 다수의 건축상을 받았으며 대형 설계사의 디자인 총괄과 CEO를 맡아 일했다.
서울대 등 다수 대학에서 설계와 구조를 강의했으며 2000년도부터 한양대에서 교수, 겸임교수, 특임교수 등을 번갈아 맡고 있다. 국민권익위원회, 서울시 건축정책위원회 위원 등을 지냈고 2019년부터 5년간은 광주광역시 총괄건축가로 일했다.
청년건축인협의회, (사)새건축사협의회, (사)서울건축포럼의 회장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는 ‘건축은 반역이다’, ‘수직의 건물 수평의 건축’, ‘구조의 구조’, ‘텍토닉 스튜디오’, ‘정의와 비용 그리고 도시와 건축’, ‘사이를 찾아서’, ‘건물이 무너지는 21가지 이유’ 등이 있다.
서문 : 한국 사회의 망각에 맞서 이 책을 쓴다.
I. 시민 권력이 품격 도시를 만든다
- ‘현대차’ 신사옥, 시민 자부심을 높일 대안이 필요하다
- 명동 버스 대란, 도심 버스터미널을 세우라
- ‘네옴시티’는 ‘진정한 지속가능성’의 도시인가?
- 대통령의 공간은 국격의 공간이다
- 코로나로 인한 ‘한국형 뉴딜’, 디지털이 능사가 아니다
- 광화문광장을 재구조화해야 할 이유 3가지
- 품격 있는 도시는 시민 권력이 만든다
1. 도시의 품질과 도시의 품격: 강남과 강북
2. 도시에서의 공익과 사익: 파리와 런던
3. 허가 혹은 협상: 브로드웨이와 북촌
4. 도시계획과 도시설계: 베를린과 암스테르담
II. 성냥갑 아파트가 어때서
- 왜 고시원은 타워팰리스보다 비싼가?
- 모순도시 ‘강남’의 해법
- ‘싸고 착한’ 아파트, 이제는 포기할 때
- 성냥갑 아파트가 어때서
- 용적률을 높여 그린 네트워크를 만들자
- 서울 주택문제 중층 중밀도가 답이다
- 단지형 아파트를 해체하라
1. 아파트: ‘총자본’이자 ‘상징자본’
2. 단지형 아파트: 불가역적인 폐쇄성
3. 고밀 아파트: 단지형 아파트와 용적률의 모순관계
4. 미래의 아파트: 경계의 공공성
III. 한국에 프리츠커 수상자가 없는 이유
- 독보적 랜드마크? ‘서울링’ 비용과 안전을 우려한다
- 너무 많은 공관, 시민 공간으로 만들자
- 왜 우리에게는 품격 있는 공공건축이 없는가?
- 작은 집을 넓게 쓰는 두 가지 방법
- 일본은 어떻게 프리츠커상의 단골이 되었나?
- 김정은 남매의 ‘표상으로서의 건축’
- 건물, 건설과 건축은 다르다
1. 건물과 건축: 건물은 일하고 건축은 말한다
2. 건설과 건축 : 프리츠커 수상자가 없는 이유
3. 건설 아래 건축: 우리 공공건축이 후진 이유
4. 권력과 건축: 표상으로서의 건축
IV. 안전한 세상은 거저 오지 않는다
- 철거도 건축이다
- 상도동 유치원과 바이온트 댐
- 필로티를 위한 변명
- 이낙연 전 총리에게 ‘대책’을 물었을까?
- 단 한 사람이 참사를 막는다
- 안전한 세상은 거저 오지 않는다
- 정의는 비용이다
1. 안전 불감증: 위험의 감수는 타산적 합리주의
2. 위험 중독증: 위험 감수의 경제, 위험 감수의 문화
3. 안전 무식증: 공학적 무지와 사회적 호들갑
4. 안전한 세상: 안전은 비용이다
V. 킬링필드 대한민국 건설 현장
- 이렇다면 철근 누락이 계속될 수밖에 없다
- 부실시공, ‘전관’ 아닌 ‘안전수탈 구조’가 문제다
- ‘순살 아파트’로 드러나는 우리 건설업의 실상
- 왜 건설사고 사망자 수는 줄지 않는가?
- 부끄럽다 삼성건설
- 후진국형 건설사고가 계속되는 이유
1.킬링필드 건설현장: 25년간 GDP 비율은 반으로, 산재는 1.5배로
2. 건설 카르텔: 똥싼 놈이 화내는 격인 건설 카르텔 혁파
3. 저렴 주택: 무법과 불법이 권세인 동네 건축
4. 감리의 감리: 상호견제를 통한 감리기능 회복만이 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