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역사/사회/종교

군사전략론 On Military Strategy

크게보기

군사전략론 On Military Strategy

국가대전략과 작전술의 원천

저자
박창희
출판사
플래닛 미디어
발행일
2013.03.06
정가
29,800 원
ISBN
9788997094271|
판형
153*224
면수
640 쪽
도서상태
판매중

구매하기

『군사전략론』은 고대부터 현대까지 진화해온 군사전략의 모든 것을 담았다. 전쟁의 본질, 제1세대 전쟁부터 제4세대 전쟁까지 그동안 변화해온 전쟁의 양상, 군사전략에 영향을 미쳐온 지정학과 전략문화, 무기기술, 육지, 바다, 하늘의 지배권을 둘러싼 지상ㆍ해양ㆍ항공전략, 핵시대의 핵전략, 역사 속 비정규전과 비대칭 전략, 그리고 오늘날 북한의 군사적 도발 위협에 맞선 한국의 &rsquo신 군사전략&lsquo까지 군사전략을 전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군사전략의 전반적인 내용을 살펴본다. 

<p>저자 : 박창희 <br /> <br /> 저자 박창희는 <br /> 현 국방대학교 군사전략학부 부교수 <br /> 국방대 안보문제연구소 군사문제연구센터장 <br /> 고려대학교 및 서강대학교 강사 <br /> 미 아태안보연구소(APCSS) 정책연수 <br /> 고려대학교 정치학박사 <br /> 미국 해군대학원(NPS) 국가안보학 석사 <br /> 육군사관학교 문학사</p> <p>[저서] <br /> 『한반도 분쟁과 중국의 개입』 선인문화사, 공저, 2012 <br /> 『현대 중국 전략의 기원』 플래닛미디어, 2011 <br /> 『전환기 한국의 국가안보전략』 사회평론, 공저, 2011 <br /> 『미일중러의 군사전략』 한울 아카데미, 공저, 2008 <br /> 『클라우제비츠, 손자 & 조미니』 평단문화사, 번역서, 2000</p> <p>[논문] <br /> &ldquo강대국 및 약소국 해양전략사상과 한국의 해군전략&rdquo 『국가전략』, 2012 <br /> &ldquo중국국방백서를 통해 본 중국의 국방정책&rdquo 『국방정책연구』, 2011 <br /> &ldquo현대중국의 전략문화와 전쟁수행방식&rdquo 『군사』, 2010 <br /> &ldquo북한급변사태와 중국의 군사개입 전망&rdquo 『국가전략』, 2010 <br /> &ldquo비대칭전략에 관한 이론적 고찰&rdquo 『국방정책연구』, 2008 <br /> &ldquoSouth Korea&rsquos Strategy for North Korean Contingency&rdquo, New Asia, 2011. <br /> &ldquoEnhanced Sino-Russian Relations and Its Implications&rdquo, The Korean Journal of Security Affairs, 2008. <br /> &ldquoWhy China Attacks&rdquo, The Korean Journal of Defense Analysis, 2008. <br />  </p>

<p>제1장 전쟁의 본질 <br /> 1. 전쟁이란 무엇인가? <br /> 2. 전쟁의 원인 <br /> 3. 전쟁의 진화 <br /> 4. 전쟁의 유형</p> <p>제2장 전략의 개념과 속성 <br /> 1. 전략의 기원 <br /> 2. 근대 이전 전략 개념의 발전 <br /> 3. 근대 이후 전략 개념의 부활과 분화 <br /> 4. 전략 개념의 재정의 필요성 <br /> 5. 전략의 개념 정의</p> <p>제3장 전략의 체계, 유형, 그리고 차원 <br /> 1. 전략의 체계 <br /> 2. 전략의 유형 <br /> 3. 전략의 차원</p> <p>제4장 전략의 속성과 쟁점 <br /> 1. 전략은 과학인가, 술인가? <br /> 2. 군사전략의 정의 : &lsquo방법&rsquo인가, &lsquo수단&rsquo인가? <br /> 3. 공격과 방어 1 : 왜 방어가 강한가? <br /> 4. 공격과 방어 2 : 방어의 강함에 대한 반론 <br /> 5. 중심의 문제 : 병력인가, 지역인가? <br /> 6. 결전의 문제</p> <p>제5장 군사전략사상 : 손자와 클라우제비츠 <br /> 1. 동양과 서양의 전략사상 <br /> 2. 접근방법과 분석수준의 문제 <br /> 3. 중심重心, center of gravity <br /> 4. 정보의 가치 <br /> 5. 전쟁수행 : 기만과 기습 <br /> 6. 후세 해석상의 오류</p> <p>제6장 지상전략 <br /> 1. 예방공격과 선제공격 전략 <br /> 2. 공격전략과 방어전략 <br /> 3. 소모전략과 기동전략 <br /> 4. 전차를 이용한 기동전략 <br /> 5. 간접접근전략</p> <p>제7장 해양전략 <br /> 1. 해양전략의 기원 <br /> 2. 해양과 해군, 그리고 제해권 <br /> 3. 강대국의 해양전략 1 : 머핸의 제해권 <br /> 4. 강대국의 해양전략 2 : 코벳의 해양통제론 <br /> 5. 약소국의 해양전략 : 해양거부론</p> <p>제8장 항공전략 <br /> 1. 항공력의 기원 <br /> 2. 두에의 항공전략 <br /> 3. 미첼의 항공전략 <br /> 4. 트렌차드의 항공전략 <br /> 5. 현대 항공력의 특성 <br /> 6. 공중우세와 항공력의 본질</p> <p>제9장 핵전략 <br /> 1. 핵시대 이전의 억제전략 <br /> 2. 억제의 조건 <br /> 3. 냉전기 핵전략 <br /> 4. 탈냉전기의 핵전략</p> <p>제10장 전략문화 <br /> 1. 전략문화의 개념 <br /> 2. 전략문화 연구의 접근방법 : 한계와 가능성 <br /> 3. 전략문화의 특성 <br /> 4. 전략문화를 형성하는 요인 <br /> 5. 각국의 전략문화</p> <p>제11장 지정학과 군사전략 <br /> 1. 지정학의 기원 <br /> 2. 대륙 중심의 지정학 <br /> 3. 해양 중심의 지정학 <br /> 4. 항공 중심의 지정학 <br /> 5. 군사전략적 함의와 지정학의 미래</p> <p>제12장 무기기술과 군사전략 <br /> 1. 고대와 중세 : 도구의 시대 <br /> 2. 근대 전기 : 화약의 시대 <br /> 3. 근대 후기 : 기계화의 시대 <br /> 4. 현대 : 핵 및 정보화의 시대 <br /> 5. 무기기술과 전략ㆍ전술</p> <p>제13장 비대칭전략 <br /> 1. 개요 <br /> 2. 비대칭 전략의 개념 <br /> 3. 비대칭 전략의 구분 : 수준, 차원, 유형 <br /> 4. 비대칭 전략의 실제 <br /> 5. 비대칭 위협에 대한 대응전략</p> <p>제14장 비정규전 : 제4세대 전쟁과 분란전 <br /> 1. 제4세대 전쟁의 개념과 특징 <br /> 2. 분란전 전략 <br /> 3. 사례 연구 : 중국혁명전쟁 <br /> 4. 대분란전 전략 <br /> 5. 제4세대 전쟁과 군사전략</p> <p>제15장 한국의 군사전략 <br /> 1. 서론 <br /> 2. 전략 개념과 &lsquo신 군사전략&rsquo : &lsquo실전 기반 억제&rsquo <br /> 3. 북한의 국지 도발 대비전략 <br /> 4. 북한의 전면전 도발 대비전략 <br /> 5. 북한의 핵위협 대비전략 <br /> 6. 결론 <br />  </p>

<p>전쟁의 본질, 제1세대 전쟁부터 제4세대 전쟁까지 그동안 변화해온 전쟁의 양상, <br /> 군사전략에 영향을 미쳐온 지정학과 전략문화, 무기기술, <br /> 육지, 바다, 하늘의 지배권을 둘러싼 지상ㆍ해양ㆍ항공전략, <br /> 핵시대의 핵전략, 역사 속 비정규전과 비대칭 전략, <br /> 그리고 오늘날 북한의 군사적 도발 위협에 맞선 <br /> 한국의 &rsquo신 군사전략&lsquo까지 <br /> 고대부터 현대까지 진화해온 군사전략의 모든 것</p> <p>군사전략을 전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군사전략 개론서 <br /> &ldquo군사전략을 배운다는 것은 전쟁이라는 난폭한 스승이 전달하고자 하는 가장 핵심적인 가르침을 깨우치는 작업이다.&rdquo <br /> &ldquo전쟁은 심심풀이 삼아 시도해보거나 한낱 승리의 기쁨을 맛보기 위해 치르는 것이 아니며, 무책임한 열정가의 전유물도 아니다. 그것은 신중한(serious)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신중한 수단이다.&rdquo <br /> 자신이 살았던 시대의 전쟁 경험을 기초로 『전쟁론』을 써서 오늘날에도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프로이센의 군인이자 군사사상가 칼 폰 클라우제비츠의 말이다. <br /> 총력전과 핵전쟁이 가능한 시대에 전쟁이 가져올 참화를 생각한다면 억제의 중요성을 부인할 수 없다. 그러나 억제는 실패할 수 있다. 역사상 숱한 전쟁 사례가 이를 입증해준다. 전쟁을 예방하고 억제하려는 노력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전쟁이 불가피하다는 엄연한 현실은 우리로 하여금 전쟁이 발발할 경우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의 문제에 대해 보다 깊이 고민하지 않을 수 없게 만든다. <br /> 따라서 &lsquo억제&rsquo가 실패했을 때 어떻게 군사력을 운용해 우리의 생존을 지키고 국가이익을 확보할 것인가의 문제, 즉 군사전략은 아주 중요하다. &lsquo군사전략&rsquo은 군사력을 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쟁의 원인이 아닌 전쟁의 과정에 관한 것이며, 전쟁의 &lsquo억제&rsquo가 아니라 &lsquo전쟁수행&rsquo을 다룬다. 즉, 군사전략은 &lsquo억제&rsquo에 실패하여 전쟁이 발발하고 난 후 적과 싸워 승리하기 위한 전략을 연구한다. <br /> 고대 그리스의 역사가 투키디데스가 &ldquo전쟁은 난폭한 스승이다&rdquo라고 말한 것처럼 역사를 들여다보면 &lsquo전쟁이라는 난폭한 스승&rsquo은 &lsquo군사전략&rsquo이라는 주제와 관련하여 우리에게 많은 가르침을 주고 있다. 역사상 &lsquo군사적 천재&rsquo로 알려진 수많은 전쟁영웅들은 바로 그러한 가르침을 몸소 전장에서 실천한 가장 위대한 스승임에 분명하다. <br /> 과거 로마 시대 카르타고의 명장 한니발부터 근대 스웨덴의 구스타브 아돌프,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2세, 프랑스의 나폴레옹, 그리고 현대의 마오쩌둥에 이르기까지 많은 전쟁영웅들은 전장에서 병력을 운용해 승리를 쟁취하는 시공을 뛰어넘는 군사전략적 혜안을 우리에게 주고 있다. <br /> 이 책은 군사전략을 이해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전쟁의 본질, 전략이론, 전략사상부터 지상전략, 해양전략, 항공전략, 핵전략, 군사전략에 관한 응용분야라 할 수 있는 전략문화, 지정학, 비정규전, 그리고 한국의 &lsquo신 군사전략&rsquo 등 &lsquo군사전략&rsquo에 관한 다양한 주제를 담고 있다. 나무 하나하나를 들여다보되, 숲 전체까지도 조망할 수 있도록 고대부터 현대까지 진화해온 군사전략에 관한 모든 것을 체계적으로 담은 군사전략 개론서다. 군사학을 연구하는 학생들에게는 이해하기 쉬운 교재로, 일반인들에게는 군사전략을 이해할 수 있는 교양서로, 그리고 군인과 국방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는 업무에 유용한 지침서가 되기에 충분하다. <br /> 오늘날 중국의 군사력 증강이나 중국과 일본의 영토 분쟁, 북한의 핵개발과 핵실험 등 북한 비롯한 한반도 주변국의 군사적 이슈로 시끄러운 요즘, 한국의 군사전략은 물론이고 각 군(육ㆍ해ㆍ공군)의 전략 개념을 발전시키는 데 꼭 필요한 책이다.</p> <p>전쟁의 역사와 역사 속 군사적 천재들을 통해 한국의 신(新) 군사전략을 배운다! <br /> 그렇다면 북한이 군사적 도발을 일삼고 핵개발 및 핵실험으로 한반도를 비롯한 국제사회를 위협하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의 군사전략은 무엇인가? 이 질문은 매우 간단한 것 같지만, 선뜻 답하기는 의외로 쉽지 않다. 그것은 &lsquo군사전략&rsquo이라는 개념이 모호하여 그 내용을 떠올리기가 막연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중요한 것은 북한의 군사적 도발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우리의 군사전략이 개념적으로 충분히 발전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사실 우리는 군사전략 개념에 대한 논의가 매우 빈곤하다. 우리 군이 서구의 군사혁신(RMA)에 영향을 받아 국방개혁을 추진하고 있지만, 그 내용을 보면 &lsquo무기 도입&rsquo과 &lsquo군 조직 개편&rsquo이 골간을 이루고 있을 뿐, 군사전략에 관한 논의는 뒷전으로 물러나 있는 것이 현실이다. <br /> 전략 개념을 정립하지 않은 채 하드웨어 도입이나 군 구조 개편에만 공을 들이는 것은 자칫 &lsquo사상누각&rsquo이라는 위험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특정한 무기체계를 도입하고 군 조직의 편제를 바꾸기 위해서는 먼저 그러한 것이 왜 필요하고 왜 그렇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리가 마련되어야 하는데, 이는 군사전략 개념을 정립하지 않고서는 불가능하다. 전략 개념이 구체화되지 않는다면 국방개혁의 목표와 추진 노력의 정도, 그리고 달성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을 설정할 수 없다. <br /> 군사전략이란 무엇인가? 한국은 어떠한 군사전략 개념을 가지고 북한의 군사적 도발 위협에 대비해야 하는가? 구체적으로 북한의 국지 도발, 전면전 도발, 그리고 핵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lsquo신 군사전략&rsquo을 어떻게 정의하고 추진할 것인가? <br /> 이 책은 고대부터 현대까지 전쟁의 역사와 역사 속 전쟁영웅들, 그리고 군사전략가들의 이론 및 사상을 통해 오늘날 북한의 핵위협에 맞선 한국의 &lsquo신 군사전략&rsquo을 모색하고 그것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함께 제시하고 있다.</p> <p>■ 머리말 중에서</p> <p>진작부터 군사전략론을 집필하고 싶었다. 국방대학교 전사전략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이 분야에 관심을 갖고 있는 연구자들과 군 간부들, 그리고 군사학을 공부하는 학생들이 한 권쯤 소장하고 싶어 하는 군사전략 지침서를 쓰고 싶었다. 여러 가지 제약 요인에도 불구하고 약 1년에 걸쳐 『군사전략론』을 집필하게 된 데에는 다음과 같은 동기가 작용했다.</p> <p>첫째로 국방대학교에서 군사전략론을 강의하면서 학생들이 참고할 만한 마땅한 교재를 찾기가 어려웠다. 군사전략은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매우 생소한 주제이고 접근하기 어려운 과목이다. 학문의 영역도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대전략부터 전술에 이르기까지, 그리고 전략사상부터 각 군의 구체적 전략에 이르기까지 그 범주가 매우 광범위하다. 따라서 처음 접한 사람이 &lsquo숲을 보지 못하고 나무들 사이에서 헤매는&rsquo 우를 범하지 않기 위해서는 군사전략을 전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개론서가 반드시 필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현실에서는 이러한 교재를 찾기가 어려웠다. 전쟁과 전략에 관한 다양한 서적이 출간되었으나, &lsquo군사전략&rsquo이라는 학문적 영역에서 표준안을 객관적으로 제시한 것은 찾아보기 힘들었다. 이러한 소망이 필자의 집필 동기가 되었다.</p> <p>둘째로 우리 사회에서 관심을 갖기 시작한 군사학 발전에 기여하고 싶었다. 군사학이라는 학문은 이제 군인과 전문연구자들의 영역에 머무르지 않고 민간 영역으로 급속히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냉전 종식 이후 안보 개념이 분화되고 각 안보 영역이 융화되면서 군사안보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중국의 군사력 증강이나 중국과 일본의 영토 분쟁, 북한의 핵개발과 핵실험 등 북한 비롯한 한반도 주변국의 군사적 이슈가 부각된 점도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부응하여 필자는 군사학 분야의 연구를 활성화하고 군사학이 보다 전문적인 학문으로 발전하는 데 초석이 되고자 하는 마음에서 이 책을 집필하게 되었다.</p> <p>셋째로 한국의 군사전략은 물론 육군, 해군, 공군, 해병대의 전략 발전에 기여하고 싶었다. 이 책을 집필하는 동안 혹자는 각 군의 전략이 왜 필요하냐는 반론을 제기하기도 했다. 그러나 필자는 각 군이 나름의 독자적인 전략을 발전시켜야 한다고 본다. 합참이 &lsquo군사전략&rsquo을 만든다면 각 군은 그러한 군사전략을 바탕으로 어떻게 싸울 것인가에 초점을 맞춘 &lsquo각 군의 전략 개념&rsquo을 구체화시켜야 한다. 그리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그러한 전략 개념에 입각한 &lsquo군사력 건설 방향&rsquo을 마련해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필자는 한국의 군사전략은 물론, 각 군의 전략 개념 발전에 기여하고자 이 책을 집필하게 되었다.</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