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K NEWS


북 뉴스

11월 신간 도서 소개(종합) - 매주 업데이트 됩니다.
등록일
2025-11-05
조회수
7
 

우울과 경청

이민하 저 / 13,000원 / 창비



“밤에 죽은 사람들은 조용하기도 하지.
내가 밖에 서 있는데 집 안에서 내 목소리가 들렸어.”

사라진 것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는
슬프고도 아름다운 우울의 미학


감각적인 언어와 그로테스크한 환상적 이미지의 세계를 구축하며 “단 한번도 상투적으로 말하지 않는”(황현산 문학평론가)다는 평을 받아온 이민하의 신작 시집 『우울과 경청』이 창비시선 526번으로 출간되었다. 2022년 지훈문학상, 상화시인상을 수상한 『미기후』(문학과지성사 2021) 이후 4년 만의 시집이자, 등단 25년 만에 선보이는 여섯번째 시집이다.
이번 시집에서 시인은 삶과 죽음, 현실과 환상의 경계를 넘나들며 “낯설고도 익숙한 세계”의 비애를 “고요하면서도 격렬한 정동”(황인찬, 추천사)의 언어로 펼쳐 보인다. 부조리한 세계를 직시하며 동시대를 증언하는 시편들은 “죽음보다 질긴 독백”(「우리가 시인이었을 때」)의 형태로 서늘하게 와닿는다. 어둡고 무거우면서도 투명하고 아름다운 언어로 ‘우울’의 미학과 ‘경청’의 시학을 펼치는 『우울과 경청』은 슬픔 속에서도 서로를 부르는 목소리로 남아 우리의 마음 깊은 곳에 오래 울릴 것이다.














DMZ 나이트 


백금남 저 / 18,000원 / 피플워치



DMZ, 그 일신이두의 경계 속으로!

삼성 문학상, KBS 문학상, 민음사 올해의 넌픽션상을 수상한 백금남 작가의 신작 『DMZ 나이트』가 출간됐다. 금기의 땅 DMZ에서 사나이들의 목숨을 건 사투를 그린 소설이다.
이 작품은 분단의 상징 DMZ를 관념의 세계에서 현실의 무대로 끌어내며, 우리가 외면해 온 숙제와 마주하게 한다. 일신이두의 용을 회자화함으로써 통합의 대가와 공존의 불가능성에 대한 깊은 성찰을 요구한다.

작가는 DMZ를 단순한 지리적 경계가 아닌, 살아 숨 쉬는 존재로 그려낸다. 그 존재는 고통을 품고 있으며, 동시에 회복을 꿈꾼다. 작품 속 인물들은 그 금기의 틈, 한 몸 두 머리인 이두룡(二頭龍)의 린극(鱗隙, 비늘의 틈) 속으로 뛰어들어, 체제와 본능 사이에서 흔들리는 인간의 진자(振子, Pendulum) 리듬을 보여준다. 비늘과 비늘 사이는 곧 존재와 존재 사이의 리듬이며 그 속에 삶에 대한 열망이 녹아 흐른다.
그들의 선택은 때로 광기로 보이고, 때로는 절박한 생존의 몸짓으로 읽힌다. 그러나 그 안에는 우리가 외면해 온 현실적 숙제가, 그리고 죽음과 삶의 본질적 질문이 숨 쉬고 있다.
『DMZ 나이트』는 분단이라는 거대한 상처를 신화적 상징과 인간의 본성으로 풀어내며, 죽음과 삶의 본질을 가르는 사랑 없이는 하나가 될 수 없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독자에게 묻는다.
“왜 죽고 사는가?”














바닷가 책바에서 카뮈를 만나다

이경은 저 / 이인성 그림/만화 / 20,000원 / 읽고쓰기연구소


『카프카와 함께 빵을 먹는 오후』의 작가 이경은 독서 에세이 두 번째
책을 읽고 쓰고 짓는 이들의 마음과 마음을 더 멀리 더 깊이 더 가볍게 연결하는 문장들

바닷가 책방에서 뜻밖의 책 한 권과
낯선 친구 하나를 만나는 순간의 기쁨을
단숨에 써 내려간다

책과의 만남을 통해 이 세계와 자신의 만남을 확장해 나가는 순간들을 섬세하게 포착한 독서 에세이 『바닷가 책방에서 카뮈를 만나다』. 라디오 드라마와 음악극 등의 대본작가로, 수필가로, 글쓰기 강사로 활약해온 작가 이경은의 두 번째 독서 에세이집이다. 첫 번째 독서 에세이 『카프카와 함께 빵을 먹는 오후』(2023)와 이어지는 책으로 전작과 유사하면서도 색다르다. 소개하는 책의 서지정보 앞에 독서의 흥취를 더해줄 음악과 음료를 페어링 한 것이 눈에 띈다. 2024년 가을부터 2025년 여름까지 ‘데일리한국’에 연재한 글을 기초로 하여 빼고 덧붙이고 다듬어 엮은 이 책의 곳곳에서 저자 내면의 흐름과 함께 저자가 감각하는 세계의 변화를 읽을 수 있다.
기한이 없는 휴가를 바닷가에서 유유자적 보내는데 아무런 약속도 기대도 없이 들른 작은 책방에서 마음에 쏙 들어오는 한 권의 책을 만나는 순간의 설렘. 바로 그런 기분을 독자에게 건네며 끝없이 말을 거는 책이다.